본문 바로가기

자기개발/Supply Chain Management

2021 나라별 Resilience (회복력 : 미래대응 전략) 리포트 Feat. Denmark (FM Global 데이터 발췌)

국제기구, 정부, 학계, 기업에서 흔하게 사용되는 단어인 Resilience는 직역하면 '회복력'을 의미하지만 내재된 의미는 위험에 따른 적응, 대응력 및 미래에 대한 전략 등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업에서 나라별 투자 요소, 지역 시장 파악에 사용되며 얼마나 발 빠르게 대응하고 사전에 준비가 되는지에 대한 평가라고 볼 수 있다.

 

최근 'FM Global' 이라는 글로벌 보험회사에서 발간한 '2021 Global Resilience Index' 에서 3가지 평가항목 (Economic, Risk Quality & Supply Chain)에 대한 130개국 Index를 랭킹, 점수와 함께 발표하였고 그간 1위 자리를 유지하던 노르웨이를 제치고 덴마크가 1위의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는 소식이다.

이유로는 삶의 질, 교육, 의료 수준, 소득이 평등하다고 평판난 덴마크가 올해 지수 평가에서 경제 생산성, 화재 위험 및 오일에 대한 의존성 고평가 (오일 쇼크 등에 피해를 덜 받는) 등에서 고평가를 받게 되었다. 이는 상대적으로 타 국가들이 2020년 코로나로 인해 락다운, 공급망 사슬 붕괴 등으로 피해를 입고 회복이 더딘 부분이 있어 덴마크의 '평등'이라는 키워드가 좋은 방향으로 해석 되었다고 생각한다.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130개 국가에 대한 3가지 지표 (추가 12가지 리소스에 기반한) 기준으로 평가된 랭킹 및 점수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몇가지 재미있는 결과가 있어 가져와봤다.

 

상기 그래프는 3가지 항목에 따른 국가별 위치를 나타내는데 한국은 3가지 중 2가지 항목 모두 진한 파랑색 (4/5 지점)에 위치했고 Risk quality 항목에서는 옅은 파랑색에 위치힌다.

많은 수출입을 하는 한국의 경우 아무래도 공급망에 대한 평가가 비교적 높은편이지만 Risk Quality부분에 있어서 현저히 낮은 스코어를 기록했는데 아마 개인적인 생각으로 분단국가라는 (종전선언이 되었음에도) 이유로 어느 정도 위험이 있다고 평가되는 것 같다.

 

이웃나라인 일본의 경우 자연재해 (지진, 스나미)로 인해 위험지수가 낮다고 할 수 있고,

급격한 속도로 발전하는 베트남의 경우 130개 국가 중 96위로 평가 되었는데 수출입이 잦고 지리적인 이점이 있기 때문인지 비교적 공급망에 대한 점수가 49.2점으로 높은 것 같다.

 

디테일한 정보에 대한 접근이 어려워 대단한 인사이트는 얻을 수는 없지만 '위험' 혹은 '회복력'이라는 키워드로 여러 국가를 분류하고 또 그 외 다른 정보들을 무료로 배포하여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로 실용적이라 생각해서 가져와봤다!

 

 

www.fmglobal.com/resilienceindex